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이란?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은 우울, 불안 등 정서적 어려움을 겪는 국민들에게 전문적인 심리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2024년 7월 1일부터 시행되었으며, 국민 누구나 신청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 사업을 통해 최대 8회의 심리상담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소득 수준에 따라 본인 부담금이 차등 적용됩니다.
신청 자격
이 사업은 우울, 불안 등 정서적 어려움을 겪는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합니다. 특히, 정신건강복지센터, 대학교 심리상담센터, 정신의료기관 등에서 심리상담이 필요하다고 인정받은 경우나 국가건강검진에서 중간 정도 이상의 우울 증상이 확인된 경우 지원 대상이 됩니다.
신청 방법
2024년 10월 2일부터 ‘복지로’ 누리집 및 모바일 앱을 통해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 복지로 누리집 접속: https://www.bokjiro.go.kr/에 접속합니다.
- 회원가입 및 로그인: 기존 회원은 로그인, 신규 사용자는 회원가입을 진행합니다.
- 서비스 신청: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메뉴를 선택하여 신청서를 작성합니다.
- 서류 제출: 필요한 경우 관련 증빙서류를 업로드합니다.
- 신청 완료: 신청 내용을 확인하고 제출합니다.
단, 18세 미만의 경우 법정대리인의 동의가 필요하므로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하여 신청해야 합니다.
서비스 제공기관 확인
서비스 제공기관은 전국에 1,097곳이 등록되어 있습니다.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누리집(https://www.socialservice.or.kr/)이나 네이버 지도에서 ‘마음투자 바우처’로 검색하여 주변의 서비스 제공기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인 부담금
소득 수준에 따라 본인 부담금이 0%에서 30%까지 차등 적용됩니다. 자립준비청년과 보호연장아동의 경우 전액 무료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1. 신청 후 언제부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나요?
신청이 승인되면 즉시 서비스 제공기관을 선택하여 상담 일정을 조율한 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 온라인 신청이 어려운 경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온라인 신청이 어려운 경우 가까운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3. 상담 횟수를 추가로 받을 수 있나요?
기본 제공되는 8회 외에 추가 상담이 필요한 경우, 담당 상담사와 협의하여 추가 지원 여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4. 본인 부담금은 어떻게 납부하나요?
본인 부담금은 서비스 제공기관에 직접 납부하며, 상담 시작 전에 안내를 받게 됩니다.
5. 서비스 제공기관은 어떻게 선택하나요?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누리집이나 네이버 지도를 통해 주변의 서비스 제공기관을 확인한 후, 본인에게 적합한 기관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은 국민들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요한 제도입니다.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마음의 건강을 지키시기 바랍니다.